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‘if – 조건문’과 ‘while – 반복문’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문법입니다. 여기서부터는 머리를 쓸 수 밖에 없습니다. 특히 복잡한 프로그래밍일 수록 얼마나 논리적으로 조건문과 반복문을 머릿속에 그릴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리를 살펴보죠. 어렵지 않아요^^
if 조건문:
조건이 성립할 때 실행하는 문
else:
조건이 성립하지 않을 때 실행하는 문
x = 6
if x < 5:
print('작다')
else:
print('크다')
#Output : 크다
한 번 다시 살펴볼까요? if 조건문을 기준으로 흐름은 두 갈래로 나뉩니다. ‘X<5 일 때 – 작다’와, ‘그렇지 않은 경우 – 크다’
그리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는 의미를 갖는 ‘else’문은 때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. 앞에 조건이 성립하지 않은 경우, 또 다른 선택 사항(조건)을 줄 때는 if를 계속 사용하게 됩니다. 아래 이미지를 보면 이해가 쉬울 거예요.
위 코드의 결과물이 머릿속에 그려지나요? 그러면 if 조건문의 원리를 이해하신 거예요! 조건문이나 반복문은 처음 공부할 때 순서도로 그려보면서 코딩하는 것이 좋아요. 논리적 흐름을 훈련(순서도 만들기)하면 아~주 복잡한 논리적 연산이 필요한 코딩에서 많~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x = 6
if x < 10:
print('작다')
if x > 15:
print('크다')
print('종료')
#Output : 작다 종료